전체 글 (26) 썸네일형 리스트형 포인터 포인터 C언어에서 포인터란 메모리의 주소값을 저장하는 변수이며, 포인터 변수라고도 부른다. int n = 100; //변수의 선언 int *ptr = &n; //포인터의 선언 int *pptr = &ptr; //포인터의 참조 주소값 데이터의 주소값이란 해당 데이터가 저장된 메모리의 주소를 의미한다. C언어에서는 이러한 주소값을 1바이트 크기의 메모리 공간으로 나누어 표현한다. 포인터 연산자 주소 연산자(&) 주소 연산자는 변수의 이름 앞에 사용하여, 해당 변수의 주소값을 반환한다. ' & ' 기호는 앰퍼샌드라고 읽으며, 번지 연산자라고도 불린다. 참조 연산자(*)C언어에서 '*' 기호는 사용하는 위치에 따라 다양한 용도로 사용된다. 이항 연산조로 사용하면 곱셈 연산으로 사용되며, 포인터의 선언 시나 메모.. C 프로그래밍 C 프로그래밍 C프로그래밍 구성 소스 파일(source file)의 작성 선행처리기(preprocessor)에 의한 선행처리 선행처리(preprocess) : 선행처리란 실행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에서 소스 파일 내에 존재하는 선행처리 지시문을 처리하는 작업을 의미한다. 선행처리지시자 #include : 외부에 선언된 함수나 상수 등을 사용하기 위해, 함수나 상수가 포함된 외부 파일을 현재 파일에 포함할 때 사용함 #define: 함수나 상수를 단순화해주는 매크로를 정의할 때 사용함 #undef: #define 지시자로 이미 정의된 매크로를 삭제할 때 사용 #line: LINE 매크로와 FILE 매크로를 재정의 할 때 사용 #error: 지정한 오류 메시지를 출력하고, 컴파일 과정을 중단하고자 할 때 사용.. Stack, Heap, 메모리 동적 할당 스택(stack) 메모리의 스택 영역은 함수의 호출과 관계되는 지역 변수와 매개변수가 저장되는 영역이다. 스택 영역은 함수의 호출과 함께 할당되며, 함수의 호출이 완료되면 소멸한다 이렇게 스택 영역에 저장되는 함수의 호출 정보를 스택 프레임(stack frame)이라고 한다. 스택 프레임(stack frame) 함수가 호출되면 스택에는 함수의 매개변수, 호출이 끝난 뒤 돌아갈 반환 주소값, 함수에서 선언된 지역 변수 등이 저장된다. 이렇게 스택 영역에 차례대로 저장되는 함수의 호출 정보를 스택 프레임 이라고 한다. 힙(heap) 메모리의 힙 영역은 사용자가 직접 관리할 수 있는 메모리 영역이다. 힙 영역에서 사용자에 의해 메모리 공간이 동적으로 할당되고 해제되며 메모리의 낮은 주소에서 높은 주소의 방향으.. [나도코딩 C] 변수, 상수, 입출력 float, double 차이점 float 와 double 의 차이점은 정밀도의 차이 이다. float은 4byte (32bit)의 수까지 표현하며, double은 8byte (64bit) 까지의 수를 표현한다. scanf 문자열 출력시 sizeof 입력 실습에서 scanf에 sizeof를 입력하는 이유는 영상에와 같이 입력받은 크기를 정해주려고 사용했다. 프로젝트 경찰관의 범죄자의 정보를 입수 (조서 작성) 이름? 나이? 몸무게? 키? 범죄명? #include //경찰관의 범죄자의 정보를 입수(조서 작성) //이름 ? 나이 ? 몸무게 ? 키 ? 범죄명 ? int main(void) { char name[10]; char what[10]; int age; float weight; double height.. [나도코딩 C] C 언어 프로그래밍 공부를 시작하며 2022년 취직을 한 후, 회사에서는 JAVA 프로그래밍 기반 엔진을 사용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JAVA 프로그래밍의 코어 엔진은 결국, C로 되어있고 엔진 코어 개발을 필 요시로 할 경우 C를 사용해야 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를 대비하여 C 언어를 미리미리 학습하고 지금부터라도 친숙해져야 향 후 개발이 필요시 도움이 될 거 같아, 인프런에 등록되어있는 무료 강의인 " 나도코딩 C" 를 정주행 하려고 한다. 이를 통해 C언에 더욱 친숙해질 수 있는 기회가 되었으면 좋겠다. [FORWARD & REDIRECT] 개념, 차이점 Forward 와 Redirect는 웹에서 다른 페이지로 이동할때 사용하는 방식이다. 하지만 각각의 차이가 있다. FORWARD Forward 방식은 Web Container 상에서만 이동된다. 즉, 실제로는 다른 페이지로 이동한것을 알 수 없다. 그렇기 때문에 기존의 request 와 response가 유지되며 새로고침을 했을때도 똑같은 정보를 전달한다(request가 유지되므로 ) REDIRECT Redirect 방식은 Foward 와는 다르게 request 을 다른 페이지로 이동시켜주며 웹 브라우저는 URL을 다른 페이지에 해당하는 URL 로 이동하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reqeust 와 response이 새로운 객체로 탄생하게 된다. 주로 forward에서는 조회 기능을 사용하며 , redire.. [GET,POST] GET , POST 방식의 차이 먼저 GET,POST 를 알기 전에 HTTP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한다. HTTP HTTP는 HyperText Tranfer Protocol로 하이퍼텍스트를 빠르게 교환하기 위한 프로토콜의 일종이다. 즉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사이에 어떻게 메시지를 교환할지를 정해놓은 규칙인 것이다. HTTP는 요청과 응답으로 구성되어있으며 클라이언트가 요청하면 서버가 응답을 받는 구조이다. GET 과 POST에 알기전에 HTTP를 알아야 하는것이 HTTP의 7개의 메소드중에 GET과 POST가 있기 때문이다. GET GET 방식은 URL에 전송할 데이터의 파라미터를 붙여서 서버로 보낸다. http://localhost:8080/movie/movieInfo.do?no=20217742 예제처럼 movieInfo.do? 뒤에 n.. [Ajax] Ajax 기본 Ajax 란? Ajax는 Asynchronous JavaScript and XML 의 약자로서 JavaScript와 XML을 이용한 비동기적 정보 교환 비법이다. 하지만 요즘에는 JavaScript 말고도 다양한 언어에서 활용된다. 동작원리 동기적 통신에서는 웹사이트에서 사용자가 어떤 행동을 취했을 경우, 그 요청이 서버로 전달되어 처리되고 결과가 반환되어 오기까지 다음 행동을 취하지 못하고 대기해야만 한다. 하지만 비동기적 통신에서는 사용자는 요청에 대한 응답이 돌아오지 않은 상태에서도 기다림 없이 다른 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동작순서 사용자가 이벤트를 발생(버튼 클릭) JavaScript는 DOM을 사용해서 필요한 정보를 구한다. 구한 정보를 XMLHttp 객체를 통해서 웹 서버에 요청한다. 웹 서.. 이전 1 2 3 4 다음